티스토리 뷰

Study/OS

Chapter 01 운영체제의 개요

JJIINDOL 2023. 4. 8. 23:23

1. 운영체제 소개

1) 생활 속 운영체제

- 임베디드 시스템: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제어를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장치 내에 존재하는 전자 시스템

 

2) 운영체제의 정의

- 정보: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로 만들어진 의미 있는 자료

- IT: 데이터를 가공해 가치 있는 정보로 만드는 모든 기술

-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한글, 메모장 등) +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 체제, 컴파일러 등)

-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의 잘못된 동작으로 컴퓨터가 망가지는 것을 막기 위해 컴퓨터 전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 웨어, 모든 소프트웨어 위에 존재.

-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에게서 모든 컴퓨터 자원을 숨겨 이를 보호한다.

-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모두 갖춘 형태 

 

3)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

- 운영체제: 커널 + 인터페이스

-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모아놓은 것으로 운영체제의 성능은 커널이 좌우한다.

- 사용자는 커널을 통해서만 컴퓨터 자원에 접근 가능

- 인터페이스: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에 인접해 커널에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고 실행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람과 컴퓨터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중간 매개체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그래픽으로 나태낸 것

 

4) 운영체제의 역할

- 자원 관리(효율성)

- 자원 보호(안정성)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제공(확장성)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운영체제의 발전

1) 초창기 컴퓨터

-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주변장치가 없었음

- 하드와이어링 방식: 전선을 연결하여 논리 회로를 구성

 

2) 일괄 작업 시스템

- IC는 진공관과 전선으로 만들어진 논리회로를 아주 작은 크기로 구현한 것

- 입력장치로 천공카드 리더, 출력장치로 라인 프린터 사용

- 일괄 작업 시스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동시에 입력해야 작업이 가능, 실행 중간에 수정x

- 계산 위주의 작업

 

3) 대화형 시스템(interactive system)

- 키보드와 모니터가 등장해 작업 중간에 입력과 결과 값 확인 가능

- 대화형 시스템: 컴퓨터와 사용자의 대화를 통해 작업이 이뤄지는 시스템

- 문서 편집기, 게임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개발

 

4)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 멀티프로그래밍 기술: 하나의 CPU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는 기술 

- 시분할 시스템: 여러 작업을 조금씩 처리해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

- 잘게 나뉜 시간 한 조각을 타임 슬라이스라고 한다.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5) 분산 시스템

- 네트워크상에 분산된 여러 컴퓨터로 작업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호 교환하도록 구성한 시스템

- 모든 참가자의 지위가 동일함

 

6)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작업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응답하여 요청받은 작업을 처리하는 서버의 이중구조

- 모든 요청이 서버로 집중되기에 서버 과부하 문제가 있다.

 

7) P2P 시스템

- 서버는 중재만 하고, 파일을 얻고자 하는 말단 사용자가 파일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직접 다운로드하는 시스템

- 대표적으로 메신저 카카오톡이 있음

 

8) 클라우드 컴퓨팅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라고 불리는 중앙 시스템에 숨기고 사용자는 필요한 서비스만 그때그때 이용

-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 파워와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연한 컴퓨팅 환경

 

 

9) 사물 인터넷

-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Internet of Things)


3. 운영체제의 구성

1) 커널과 인터페이스

- 유닉스 계열의 커널: 문자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 shell

- 윈도우 계열의 커널: 문자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 cmd

 

2) 시스템 호출

- 시스템 호출: 커널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인터페이스로 함수 형태로 제공된다.

-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커널 영역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 유사한 용어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SDK가 있다.

 

3) 드라이버

- 커널과 하드웨어의 인터페이스,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커널에 연결한다.

- 마우스, 키보드 등 복잡하지 않은 드라이버는 커널에 포함되어 있어서 컴퓨터에 연결만해도 작동되지만 그래픽카드, 프린터 등 복잡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해야한다.

 

4) 커널의 역할과 종류

- 역할: 프로세스, 메모리, 파일 시스템, 입출력, 프로세스 간 통신 관리

- 종류: 단일형 구조, 계층형 구조, 마이크로 구조 커널

 

 

 

 

 

 

 

 

 

 

 

 

 

 

 

 

 

 

 

 

 

 

 

'Study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말고사 정리2  (1) 2023.06.09
기말고사 정리1  (2) 2023.06.08
Chapter 04 CPU 스케줄링  (0) 2023.04.16
Chapter 03 프로세스와 스레드  (0) 2023.04.13
Chapter 02 컴퓨터의 구조와 성능 향상  (0) 2023.04.1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