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접근 제어자

 - '정보 은닉' 이란 사용자가 굳이 알 필요 없는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숨겨야 한다는 개념이다. 그렇게 해서 사용자는 최소한의 정보만으로 프로그램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접근 제어자는 멤버 또는 클래스에 사용되어, 해당하는 멤버 또는 클래스를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1. private

2. default

3. protected

4. public

 

💡접근 범위가 넓은 쪽에서 좁은 쪽의 순으로 왼쪽부터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 default를 위한 접근 제어자는 따로 존재하지 않고, 접근 제어자가 지정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default 접근 제어를 가지게 된다.

 

 

✨접근 제어자를 이용한 캡슐화

 -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클래스의 내부에 선언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데이터가 유효한 값을 유지하도록, 또는 비밀번호와 같은 데이터를 외부에서 함부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객체지향개념의 캡슐화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또 다른 이유는 클래스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작업을 위해 임시로 사용되는 멤버변수나 부분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메소드 등의 멤버들을 클래스 내부에 감추기 위해서이다. 외부에서 접근할 필요가 없는 멤버들을 private으로 지정해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Algorithm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기본편 - 7장 퀴즈  (0) 2023.03.04
자바 기본편 - 상속  (0) 2023.02.21
자바 기본편- Getter 와 Setter  (0) 2023.02.18
자바 기본편 - 용어 정리  (0) 2023.02.13
자바 기본편 - 메소드 퀴즈  (0) 2023.02.1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