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차원 배열
- 배열의 값을 미리 알고 있을 때>> 자료형[][] 변수명 = { 데이터(0행 0열), 데이터(0행 1열) },
{ 데이터(1행 0열), 데이터(1행 1열) },
{ 데이터(2행 0열), 데이터(2행 1열) } }
public class C_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eats = { { "A1", "A2", "A3", "A4", "A5" },
{ "B1", "B2", "B3", "B4", "B5" },
{ "C1", "C2", "C3", "C4", "C5" } };
// B2, C5에 접근
System.out.println(seats[1][1]);
System.out.println(seats[2][4]);
}
}
- 배열의 값을 모르는 경우>> 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행][열]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new int[4][3]; // 4행 3열 배열 생성
num[0][0]= 4; num[0][1]= 3; num[0][2]= 4; // 값 할당
num[1][0]= 3; num[1][1]= 7; num[1][2]= 6; // 값 할당
num[2][0]= 5; num[2][1]= 8; num[2][2]= 7; // 값 할당
num[3][0]= 9; num[3][1]= 9; num[3][2]= 10; // 값 할당
for (int i = 0; i < 4; i++) { // 행 반복
for (int j = 0; j < 3; j++) { // 열 반복
System.out.println(i+"행 "+j+"열의 값:"+num[i][j]);
}
}
}
행은 가로, 열은 세로의 값을 나타낸다. 행/열 = 가로/세로
✨ 행과 열이 다른 경우의 2차원 배열
public class C_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첫 줄은 3칸, 둘째 줄 4칸, 셋째 줄 5칸
String[][] seat = {
{ "A1", "A2", "A3"},
{ "B1", "B2", "B3", "B4"},
{ "C1", "C2", "C3", "C4", "C5" } };
System.out.println(seat[0][2]); // A3에 접근
}
}
>> 위 코드의 실행 결과 A3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만약 println(seat[0][4])를 입력하면 배열의 범위에서 벗어나 오류가 발생한다.
'Algorithm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기본편 - 메소드 (0) | 2023.02.08 |
---|---|
자바 기본편 - 배열의 순회 (0) | 2023.02.04 |
자바 기본편 - 배열 (0) | 2023.02.01 |
자바 기본편- break와 continue (0) | 2023.01.30 |
자바 기본편 - while문 (0) | 2023.01.25 |